해외건설수주 지원 '고위급 네트워크' 가동
해외건설수주 지원 '고위급 네트워크' 가동
  • 천동환 기자
  • 승인 2017.01.15 17: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보수 민간신분 명예대사 선발
침체된 해외사업 탈출구 '마련'

▲ 지난 2015년 12월 쌍용건설이 완공한 도심지하철 921공구(DTL 921) 현장 모습.(사진=쌍용건설)
한파를 겪고 있는 해외건설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으로 글로벌 네트워크를 가진 고위급 출신을 해외건설 수주 대사로 임명해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15일 국토교통부와 외교부 등에 따르면 외교부는 국토부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과 함께 건설외교를 지원하는 대외직명대사를 임명해 운영할 계획이다.

지난 1984년 '정부대표 및 특별사절의 임명과 권한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만들어진 무보수·민간인 신분의 대외직명대사는 임기가 1년이며 국제회의 등에 우리 정부를 대표해 참석하는 등 정부의 외교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이명박 정부 때 자원외교를 돕기 위해 '에너지 대사'가 임명된 경우가 있지만 해외건설 수주를 돕는 대외직명대사는 없었다.

외교부는 국토부 등의 추천을 취합해 선발 인원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또 국토부는 국가별 경제발전공유사업(KSP) 수석고문과 명예영사 등을 포함한 인적 네트워크도 해외 건설수주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여기에는 해외 건설수주 체질 개선을 위한 목적도 담겨 있다.

해외시장에서의 저가수주 경쟁으로 인해 건설사들은 한 동안 극심한 실적 부진에 시달려야 했다.

이 여파로 해외건설 수주액은 지난 2014년 660억 달러에서 2015년 461억 달러에 이어 지난해 282억 달러로 계속 줄고 있다.

이에 대안으로 제기된 것이 PPP(Public-Private Partnership:민관협력) 사업이다.

PPP는 민간이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민자 고속도로 사업처럼 민간 사업자가 기획부터 개발, 건설 등을 거쳐 운영까지 하면서 수익을 회수하는 구조다.

복잡하고 규모도 큰 PPP 사업을 성사시키려면 국가 및 민관간 협력 체계를 최대한 가동해야 한다는 것이 국토부의 생각이다.

PPP 사업은 최근 글로벌 건설산업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중동 등 신흥국뿐만 아니라 캐나다, 호주 등 선진국에서도 PPP 사업이 최근 활기를 띠고 있다. 신흥국 PPP 사업 규모는 2005년 400억달러에서 2015년 1200억 달러로 3배가량 증가했다.

[신아일보] 천동환 기자 cdh4508@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