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서방의 뒤끝이 생각보다 오래가고 있다.
중국 국가여유국은 어제(28일) 한국 단체관광 금지조치를 일부 해제했다. 지난 3월 내려진 금한령(禁韓令) 여파에 힘들어하던 업계는 8개월만에 들려온 ‘일단’은 단비같은 소식이다.
하지만 내막을 들여다보면 그렇지도 않다. 한국행 상품을 저가로 팔아서는 안되고, 온라인 여행사의 판촉행위도 제한된다. 단체관광객을 실어 나를 전세기 운항이나 크루즈선 정박 여부도 불투명하다.
특히 롯데에 대한 노골적인 반감이 포함됐다. 국가여유국은 이번 조치에서 롯데와 관련된 숙박·면세점 이용이 포함된 관광상품 판매를 콕 집어 금지했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부지를 제공한 대가를 톡톡히 치러보라는 심보다.
지난 수개월 간 지속된 한중간 정치·외교적 갈등으로 피해를 입은 롯데는 이제 말을 잃었다. 중국 단체관광객이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면세점 업계에서 롯데면세점만 기대감이 크게 꺾인 모습이다.
다른 업계의 입장도 별반 다르지는 않다. 긍정적인 시그널이라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중국만 노린 사업을 펼치기에는 이제 리스크가 크다는 것을 깨달은 모양새다. 중국의 조치가 생색내기용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다만 아직까지 터닝포인트는 남아 있다는 희망적인 시각도 있다.
우선 다음달로 예정된 한중 정상회담이 꼽힌다. 중국 측은 정상회담에서 단체관광 전면 재개를 히든카드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또 하나는 내년에 개최되는 평창 동계올림픽이다. 올림픽은 세계 최대의 스포츠 축제인 만큼 중국도 단체관광 허용을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란 판단이다.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핵심적인 주체는 정부라는 것에 이견을 달긴 힘들다.
미국의 아성마저 넘보는 중국을 상대로 일개 기업이 지금의 상황을 제어할 수 있는 단계는 지난 지 한참이다. 결국 중국과의 경제적 연관성이 큰 한국 경제가 제자리를 찾기 위해서는 정부의 외교적 노력이 뒷받침 돼야 한다.
[신아일보] 김동준 기자 blaams@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