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정부, 지방은행 생존권 보장 대책 내놔야
[기자수첩] 정부, 지방은행 생존권 보장 대책 내놔야
  • 이민섭 기자
  • 승인 2024.02.12 09: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방은행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 영업실적이 역신장한 영향이다. 여기에 금융당국 충당금 적립 압박에 더해 상생금융 확대 요구까지 이어지며 생존권 위협은 더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DGB·BNK·JB금융지주 지난해 순이익은 1조6041억원을 기록했다. 1년 전(1조7768억원)과 비교해 약 10% 가까이 줄어들었다.

실적 악화에는 충당금 적립이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DGB금융의 지난해 충당금은 1년 전보다 73.8% 늘어난 6068억원이며, BNK금융의 지난해 충당금은 9526억원으로 전년보다 72.9% 늘었다. JB금융 역시 같은 기간보다 70.9% 늘린 4424억원으로 집계됐다.

또한 △DGB금융 305억원 △BNK금융 832억원 △JB금융 484억원 등 민생금융 지원책을 내놓은 점도 실적 악화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방은행은 실적 악화에 더해 건전성 지표도 악화일로다. DGB금융의 연체율은 지난해 말 기준 1.07%다. 1년 전과 비교해 0.46%포인트(p) 오른 수치다. JB금융과 BNK금융 역시 같은 기간 대비 0.35%p, 0.02%p 오른 0.93%, 0.60%를 기록했다.

이밖에도 주요 건전성 지표 중 하나인 고정이하여신비율(NPL)도 모두 상승하며 악화됐다.

여기에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케이·토스뱅크)는 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 경쟁에서 편의성과 저금리를 앞세워 온라인 주택담보대출 시장에서 주도권 확보하는 점도 지방은행 생존에 위협적 요소로 꼽힌다.

지방은행은 주담대 시장 확대를 위해 3%대 저금리와 금리 감면 혜택을 제공하며 적극적인 유치전을 펼쳤다. 하지만 일부에서 인터넷은행 편의성과 자본력 앞에서는 역부족이란 평가도 나왔다.

카카오뱅크는 혼합금리 상·하단 모두 연 3%대로 제시하며 서비스 첫날 일별 한도를 소진했고, 케이뱅크 역시 그간 주담대 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빠른 대출 속도를 무기로 내세우며 완판 행진에 가세했다.

이렇다 보니 지방은행은 생존길 모색에 한창이다. 대구은행은 시중은행 전환을 목표로 디지털 시대 금융 소비자를 위한 혁신을 올해 경영 목표로 내걸었다. 그럼에도 아직 시중은행 전환에 대한 가시적 성과가 나오지 않은 만큼 확실한 타개책이라 할 수 없다.

그간 지방은행은 거점 지역 기업 대출을 자양분 삼아 성장해 왔다. 거점 지역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정부는 지방은행 상생금융 동참 확대를 무리하게 요구하기보다 지역 경기 침체 해소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 생존권을 보장해 주길 기대한다.

minseob2001@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