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는 지난 3일 '2024 널리 웨비나'를 개최하고 포용적 AI 기술의 중요성과 접근성 개선 사례를 공유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웨비나는 'AI 접근성을 통한 사람 중심의 디지털 포용'을 주제로 진행됐다. 네이버, 구글, 엔비전스, N Tech Service, 이화여자대학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등 업계 전문가가 AI 기술을 통한 소외계층의 디지털 서비스 접근성 개선 사례 및 기술·제도적 노력을 공유했다.
연사로 참여한 김영호 네이버클라우드 AI Lab 리더는 거대 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문맥에 맞는 대화 가이드를 제공해 의사소통이 어려운 자폐 아동과 부모를 돕는 'AACessTalk'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김영호 리더는 어린이, 고령자, 장애인 등 디지털 정보 접근이 어려운 이용자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기술 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AI가 다양한 이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접근성 개선을 위한 시스템 구축과 AI 기술의 실제 서비스 적용 등을 이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IT업계, 학계, 국제사회의 활동도 소개됐다.
N Tech Service의 이선주 웹 접근성 전문가는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접근성을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솔루션 활용 방안을 소개했다. 이화여대는 웹툰에 음성 AI 기술을 입혀 몰입도를 높인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구글은 크롬 브라우저에서 PDF와 웹 페이지를 읽을 수 있도록 기술을 적용한 사례를 소개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와 ITU의 접근성 가이드라인 채택 등 포용적 기술 활용을 위한 국제사회의 동향을 소개하고 국내 산학계의 미래 기술을 통한 인권 보호 활동 사례를 공유했다.
김영호 리더는 "네이버는 널리 웨비나를 통해 접근성 증진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플랫폼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 포용적인 기술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해왔다"며 "AI 시대에도 소외계층이 어려움 없이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모두를 아우르는 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