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철광석 저가매수 영향…중국산덤핑·건설불황 겹쳐
중국산 덤핑과 건설 불황으로 위기에 빠진 철강업계가 해상운임까지 상승하며 삼중고에 빠졌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최근 해상운임 상승으로 원자재 수입 부담이 30%가량 늘었다. 철광석과 석탄을 사들이는 데 지출한 비용은 지난해 1분기 3조9302억원에서 올해 같은 기간 4조4950억원으로 14% 이상 증가했다. 사실상 수입 전량이 해상운송으로 이뤄지는 철강업 특성상 큰 타격을 입게 됐다.
철광석·석탄 등 해상운임 지표로 쓰이는 발틱운임지수(BDI)는 지난 6월27일 기준 2031로 올해 1월17일 1308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55% 올랐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이번주 3475.60을 기록했다. 지난 3월29일(1730.98) 이후 11주 연속 상승세며 2022년 8월 이후 최고치다.
이같은 오름세의 이유로는 중국의 철광석 저가매수 전략, 홍해사태,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 등이 지목된다.
철광석 자체 가격은 떨어졌지만 운송비가 높아지며 총 비용은 오히려 더 늘었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부동산 경기회복 둔화로 철강 내수 침체 위기에 놓인 중국제철소들이 1분기 철광석 가격 약세를 공략해 철광석을 꾸준히 수입했다”며 “지난해부터 중국 제철소들은 소폭의 수익에도 조업을 지속했고 철광석 가격이 하락했을 때 수입하며 운송비를 밀어올렸다”고 설명했다.
또한 홍해를 지나는 선박을 후티 반군이 공격하면서 수에즈 운하가 막혀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가는 운항은 아프리카 남단 희망봉 쪽으로 우회하게 됐다. 이 경우 항로는 9000킬로미터(㎞) 가량 늘어나며 기간은 7~10일 연장된다.
여기에 미국의 대중국 관세 인상으로 판로가 막힌 값싼 중국산 철강이 한국으로 추가 유입될 가능성까지 높아지면서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도 해상운임 상승을 부추겼다. 미국 정부는 최근 중국산 철강재, 태양광 패널 등에 관세를 기존 25%에서 최고 100%까지 인상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중국 기업들이 관세 인상 조치가 시행되기 전 미리 ‘밀어내기 수출’을 서두르면서 물동량이 급증하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철강사들이 물류업체와 계약할 때 전부 스팟(단기)으로 하지는 않는다”며 “중장기적으로 계약하거나 공급망을 늘리는 등 조달시점, 조달처를 다양화해 리스크 헷징(위험분산)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무리 준비를 철저히 했어도 급등한 해운비용의 영향을 받는 건 사실”이라며 “이는 현재 철강업계의 당면 과제”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