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 정책 효과로 가계 빚 증가속도가 줄어든 가운데 2분기 들어서도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했다.
다만 가계 빚 증가속도가 소득 증가속도보다는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부동산 투자심리가 식지 않는다면 가계 빚 증가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수 있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19년 2분기 중 가계신용(잠정) 통계를 보면 6월 말 가계신용 잔액은 3월 말보다 16조2000억원(1.1%) 증가한 1556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신용은 은행이나 보험사, 대부업체, 공적 금융기관 등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포함한 포괄적인 가계부채를 의미한다.
2분기 가계신용의 지난해 동기 대비 증감률은 4.3%다. 2004년 3분기(4.1%) 이후 14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내려왔다.
앞서 가계신용 증감률은 금리하락과 부동산·대출 규제 완화 여파로 2015년(10.9%), 2016년(11.6%), 2017년(8.1%) 폭증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가 대출 억제 및 부동산 시장 규제책을 내놓으면서 지난해2분기 7.5%에서 3분기 6.7%, 4분기 5.9%, 올해 1분기 4.9%로 하락세를 보여왔다.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둔화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소득보다는 빠르게 늘고 있다.
1분기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지난해동기 대비 1.2%, 순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3.6%에 머물러 가계신용 증가율(4.3%)에 못 미쳤다.
과거 분양된 아파트 입주 물량에 따른 집단대출이 증가했고 전세자금대출 수요가 높아지면서 은행을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가계대출이 늘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신규 아파트 분양 물량은 집단대출로 전환될 때까지 2∼3년의 기간이 소요되기에 가계대출 증가세가 쉽게 꺾이지 않는 요인이 된다.
대출금리가 하락한 데다 2분기 들어 서울 지역 주택가격이 오르는 점 역시 향후 가계부채 증가를 견인할 수 있는 요인이다.
한은 관계자는 "부동산 투자 심리가 하반기에 어떻게 이어질지가 가계대출 견인을 좌우할 것"이라며 "다만 정부의 부동산 관리대책과 민간아파트 분양가 상한제 시행은 가계대출 축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판매신용을 제외한 가계대출만 살펴보면 2분기 증가폭은 15조4000억원으로 1분기(5조1000억원)를 크게 웃돌았다.
금융기관별로는 예금은행 대출 증가액이 13조3000억원으로 전체 증가액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상호금융·저축은행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 대출 증가액은 5000억원에 머물렀다. 보험사 등 기타금융기관 대출은 1조6000억원 늘었다.
판매신용은 계절적 요인으로 1분기 1조9000억원 감소했으나, 2분기 들어서는 8000억원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