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수소차 등 판매 대수가 늘면서 친환경 차량에서 제작결함 신고 건수는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현대자동차 ‘코나 전기차(EV)’ 화재 사건 이후 전기차 안전에 대한 불안이 커진 상황에서 친환경차 결함 조사를 담당할 전문 인력은 부족한 상황이다.
28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올해 11월 기준 전기차 등록 대수는 13만1923대로 지난 2016년 말 1만855대와 비교해 약 12배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기차 결함 신고도 증가하는 추세다.
자동차리콜센터에 접수된 전기차 결함 신고는 올해 들어 11월까지 276건으로 지난 2016년 6건과 비교하면 46배 증가했다.
정부는 한국형 뉴딜 정책인 ‘그린 뉴딜’을 통해 오는 2025년까지 100만대 이상의 친환경차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장비와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한국형 자동차조기경보제’ 도입 등으로 연구원의 업무량이 급격히 늘고 조사 장비와 인력이 내연기관 위주로 구성됐기 때문이다.
실제 코나 EV 화재 관련 결함조사가 늦는 데는 장비 문제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터리 화재 원인을 밝히기 위해선 방폭 실험실 등도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이러한 시설을 갖추지 못해 외부에서 실험을 진행해야 해 원하는 시간만큼 진행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 따른 결함 검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총사업비 390억원 규모의 ‘친환경자동차 부품인증센터’를 광주에 구축하고 있다. 부품인증센터는 내년 10월 완공될 예정이다.
부품인증센터에는 방폭 시설을 갖춘 배터리 전문동이 구축돼 실차 테스트까지 진행할 수 있다.
다만, 내년 하반기부터 부품인증센터가 가동돼도 인력 확보는 여전히 숙제로 남는다.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현재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제작결함조사 관련 인력은 38명이다. 이 중 기계·자동차공학 전공은 29명으로 가장 많다. 전기·전자 전공은 4명, 기타 5명이다.
특히 코나 EV 등 차량 화재 관련 조사 인력은 3명뿐이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코나 EV 화재 원인을 신속하게 밝히기 위해 제작결함 조사 인력 13명을 추가 투입했지만 전기차 배터리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등 전문 인력은 부족한 상황이다.
관련업계에선 당초 올해 안에 마무리하려던 코나 EV 화재의 원인 분석 결과가 해를 넘길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