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고환율'이지만…내년초 경제성장 안정화
'고물가·고환율'이지만…내년초 경제성장 안정화
  • 최지원 기자
  • 승인 2022.07.14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협, '원자재가·환율 변동이 미치는 경제 영향' 보고서 발표
한국무역협회 로고.
한국무역협회 로고.

최근 원자재 가격 변동과 환율 상승으로 인한 무역적자 확대, 경제성장률 둔화 영향이 내년 초 점차 안정된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15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국제 원자재 가격과 원화 환율의 변동요인 및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국제 에너지 원자재 가격과 곡물 가격이 지난해 대비 크게 올랐다. 2021년 평균가 기준, 현재(7월12일 기준) 원유는 47.6%, 천연가스는 74.1%, 석탄은 207.4% 상승했다. 밀(18.9%), 옥수수(34.1%) 등은 연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크게 오른 뒤 안정화됐지만 여전히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원·달러 환율도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1300원대를 돌파했다. 7월12일 기준 2021년 평균 대비 14.6% 상승한 1312.4원을 기록했다.

연구원이 원자재가·환율 변동의 수출입 영향을 분석한 결과 원자재 가격과 원·달러 환율이 각각 10% 상승하는 경우, 수출(금액기준)은 0.03% 증가에 그치는 반면 수입은 3.6% 증가했다. 원자재가·환율 상승 수출증대 효과보다 수입증대 효과가 더 커 당분간 무역적자가 지속될 것이란 분석이다.

생산비용은 2021년 대비 전산업에서 평균 8.8% 상승한 것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철광석, 구리 등 금속 가격이 전년 대비 소폭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 에너지 가격과 환율이 상승하며 생산비 상승을 견인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생산비 상승 폭(11.4%)이 서비스업(4.4%) 보다 2배 이상 컸다.

원자재·환율 변동이 최종재 생산비용에 반영되기까지는 5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가·환율 상승 충격의 경제성장률 둔화 영향은 충격 직후 가장 크며 이후 등락을 거듭하다 약 10개월 이후 대부분 소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원빈 무역협회 연구원은 “올해 3∼4월 집중됐던 원자재가·환율 상승으로 인한 무역수지 적자, 경제성장률 둔화는 대외여건 개선에 따라 내년 초부터 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도 연구원은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최근 원자재 가격이 다소 안정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물가는 기본적으로 하방 경직성이 강해 중장기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 차원의 물가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frog@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