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의 보험료 카드 납부가 외면받고 있다.
보험업계는 은행 예·적금을 카드로 납부하지 않듯이 보험 상품 또한 예·적금과 유사한 금융상품이기 때문에 카드 납부는 어렵다고 주장한다.
또 카드수수료는 결국 보험료 인상이기 때문에 소비자 부담은 가중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를 두고 보험사와 카드사의 이익은 결국 소비자에 의해서 발생하는 만큼 소비자 편익 증진을 위해 보험료 카드 수수료율 조정 등 카드 결제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사는 보험료 카드 납부를 꺼리고 있다. 카드 결제 수수료로 인한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손해보험사의 보험료 신용카드납 지수는 30.5%다. 이 중 자동차보험(79.3%)을 제외하면 장기보장성보험(14.7%), 장기저축성보험(4.5%) 등 9.6% 수준이다.
자동차보험의 경우 다이렉트 채널이 보편화돼 있고 일 년에 한 번 보험사를 바꿀 수 있고, 금액도 커 소비자 유입을 위해 편의를 최대한 맞추는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생명보험사의 보험료 신용카드납 지수는 5.2%에 그쳤다. 장기 상품을 주로 판매하는 생명보험사의 특성상 카드 결제 수수료 부담이 손해보험사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업계 1위 삼성생명의 경우 보험료 신용카드납 지수는 0.2%며 대형 생명보험사인 교보생명과 한화생명은 보험료 카드 결제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반면 텔레마케팅 비중이 큰 라이나생명의 경우 34.7%, AIA생명은 24.5%로 나타났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보험도 예·적금과 같은 금융상품이라는 입장은 동일하다"면서도 "카드 납부는 보험사별 채널과 상품 속성에 따라 부여하고 업계에 전반적인 필요성이 제기되며 검토할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보험은 비용이다'라는 인식이 커 보험료 카드 납부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고 있는데 장기 상품을 주로 판매하는 생명보험사의 경우 수수료 부담도 생각해봐야 할 문제"라며 "결국 1~2%대 카드 수수료는 보험료에 얹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로 소비자 부담으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황운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보험사가 수수료 때문에 의도적으로 보험료 카드 납부를 거부하는 사례가 있다고 꼬집었다.
구체적으로 황 의원은 △보험사 오프라인 지점을 통해서만 카드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 △같은 그룹 소속의 카드사를 통해서만 자동결제 등록이 가능한 경우 △보험설계사를 통해 가입한 보험의 경우 자동결제 등록이 불가능하고 보험설계사를 통해 카드 수기 납부만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 등을 꼽았다.
황 의원은 "결제 수단을 결정하는 것은 소비자의 권리인데 보험사에서 의도적으로 카드납입을 거부하거나 방해하는 것은 소비자 주권을 침해하는 행위"라며 "보험계약 과정에서 보험사의 불법적인 카드납입 방해 행위가 있는지 전수조사해 불법적인 보험업계 관행을 근절하고 보험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소비자단체도 소비자 편의가 우선이 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배홍 금융소비자연맹 보험국장은 "보험료 카드 납부는 오랜 기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문제"라며 "보험사와 카드사 등 업권 간의 이익보다 소비자중심경영,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이용 편의성을 우선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