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의 오프라인 점포가 문을 닫고 있다. 9년 만에 적자가 현실화하면서 임대료, 인건비 등 고정비용을 줄이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오프라인 점포가 줄면서 발생할 수 있는 이용자 불편은 비대면 디지털 금융 서비스로 대신한다는 방침이다.
24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작년 9월 말 기준 저축은행 79곳의 점포 수는 280개다.
저축은행 점포 수는 지난 2020년 304개 △2021년 294개 △2022년 283개 등 최근 3년간 지속해서 감소하는 추세다.
이처럼 점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SBI저축은행은 오는 31일 서울 강남, 전북 전주지점을 각각 서울 삼성지점, 광주지점과 통합해 또다시 점포를 줄인다는 계획이다.
이보다 앞서 지난해에는 우리금융저축은행, BNK저축은행, KB저축은행, OK저축은행, 대신저축은행 등도 일부 지점을 통폐합하거나 이전하며 몸집 줄이기에 한창이다.
저축은행들이 점포를 줄이는 이유는 적자 경영과 함께 부동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를 대비하기 위한 방편으로 풀이된다.
저축은행 79곳의 작년 3분기 말 기준 순손실은 1413억원으로 지난 2014년 6월 이후 9년여 만에 적자를 기록했다.
여기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체율(지난해 3분기 말 기준 5.56%) 역시 치솟으며 건전성 관리에 비상등도 켜졌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소비자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지점설치 규제를 완화했지만, 임대료와 인건비 등 고정비를 줄여 발등의 불을 끄기 위한 상황에서 점포를 늘리기는커녕 되려 줄일 수밖에 없는 처지다.
여기에 시중은행이 디지털 전환에 박차를 가하며 시공간을 초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에서, 저축은행 역시 오프라인 점포를 통한 서비스 제공에는 한계가 있다는 판단이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올해 역시 지난해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며 “하지만 점포를 늘릴수록 직원 수는 늘어나고 그만큼 인건비, 지점 운영 등에 필요한 고정비용이 늘어난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지점이 축소되는 만큼 온라인 비대면 서비스 전환에 집중하고 있다”며 “지점 축소 등으로 불편을 겪을 수 있는 노년층, 장애인 등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