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업권이 건전성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태 여파로 일부 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이 무더기로 떨어진 까닭이다.
일각에서는 부동산 PF 옥석 가리기 과정에서 저축은행업권의 유동성 위기로 건전성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1일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신용등급을 부여받는 국내 저축은행 30곳 중 16곳의 저축은행 신용도는 올해 들어서 하향 조정됐다.
최근 신용등급이 강등된 곳은 △OSB저축은행(BBB/부정적→BBB-/안정적) △웰컴저축은행(BBB+/부정적→BBB/안정적) △키움YES저축은행(BBB+/부정적→BBB/안정적) △바로저축은행(BBB+/부정적→BBB/안정적) △OK저축은행(BBB+/부정적→BBB/안정적) 등 6곳이다.
또 신용전망이 하향된 곳은 △키움 △고려 △KB △대신 △다올 △애큐온 △모아 △JT △JT친애 △NH저축은행 등이다.
올해 들어서 저축은행의 신용도가 대규모 하향 조정된 것은 부동산 PF 부실 우려에 따른 건전성 위기감 때문이다.
실제 금융당국이 발표한 올 1분기 기준 전 금융권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말과 비교해 0.85%포인트(p) 상승한 3.55%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저축은행업권의 PF 대출 연체율은 같은 기간보다 4.30%p 오른 11.26%로 집계됐다.
특히 신용등급이 강등된 곳의 PF 대출 연체율은 △웰컴(12.98%) △키움YES(14.68%) △OK(15.33%) △키움(19.58%) 등 업계 평균을 웃돌았다.
이런 상황에서 저축은행의 유동성 관리는 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저축은행업권은 개인사업자대출 부실채권 매각과 PF 정상화 펀드 조성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건전성 지표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특히 1분기 8.8%에 달한 저축은행 연체율은 2분기 들어서 10%를 넘어설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더욱이 오는 5일까지 양호와 보통 유의, 부실 우려 등 네 단계로 분류하는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가 진행 중이다.
살릴 수 있는 사업장과 구조조정이 필요한 사업장 구분이 마무리되면 하반기 부실 사업장에 대한 재구조화, 경·공매 등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평가 결과에 따라 부실 우려로 분류된 사업장에 대해서 금융회사는 회수 의문 수준인 75% 수준의 충당금을 적립해야 한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업권의 건전성, 유동성 위기를 예방하고자 업권 자체적으로 3차 부동산 PF 정상화 펀드를 조성하고 있고 금융당국 역시 저축은행의 유동성 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며 “일부 저축은행들은 유동성 공급 해소 차원에서 모기업으로부터 자금 수혈에 나서는 등 업권 부실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