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은 올 상반기 부실채권을 무더기로 처분했다. 지역 경기 침체에 따른 자산건전성 악화 영향이다.
하반기에도 지방은행의 부실채권은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지방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은 한층 확대될 전망이다.
26일 은행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BNK부산은행과 BNK경남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에 더해 지역에 거점을 둔 iM뱅크의 올 상반기 말 기준 대출채권 상·매각 금액은 9804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84.2% 늘어난 수준이다. 특히 올해 2분기에만 6041억원을 처분하며 최근 5년 사이 분기 기준 최대를 기록했다.
통상 은행은 부실 등급 채권 가운데 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어려운 채권을 최종 손실처리해 장부에서 상각하거나 시장에 매각한다. 이는 자산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한 조치다.
은행별 부실채권 매각 규모를 살펴보면 경남은행은 올 상반기에만 2468억원을 상·매각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69.4% 증가한 수준이다. 이어 △부산은행(2523억원, 전년比 45.9%↑) △iM뱅크(2267억원, 29.1%↑) △전북은행(1426억원, 150.1%↑) △광주은행(1120억원, 68.6%↑) 등 순이다.
이렇다 보니 이들 지방은행의 2분기 말 기준 평균 연체율은 0.63%로 4대 시중은행 2분기 평균 연체율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높았다. 세부적으로는 전북은행이 0.95%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부산은행(0.67%) △광주은행(0.63%) △iM뱅크(0.49%) △경남은행(0.45%)등 순이다.
이처럼 지방은행이 대규모 부실채권을 처분한 것은 거점 지역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중소기업 경영 상황이 좋지 못한 탓이 크다. 실제 부산은행의 기업대출 부실채권 비율은 0.9%로 작년 6월 말과 비교해 2배 이상 늘었다.
더욱이 하반기 남은 기간에도 지방은행의 부실채권은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원리금 상환이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인 요주의 등급 대출 자산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지역 경기침체가 하반기에도 이어지며 요주의 등급 대출의 부실화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부실채권이 지속 증가할 경우 지방은행의 하반기 실적은 전년 대비 부실할 가능성이 높다. 대손충당금을 기존보다 더 적립해야 하기 때문이다. 앞서 지방은행은 지난해부터 대손충당금을 적립 여파로 수익성 제고에 난항이다.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경기 침체 장기화로 지방은행의 건전성 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건 사실”이라면서 “특히 수도권보다 악화된 지역 경제, 고금리 여파로 건전성은 더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