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중소기업 800개사를 대상으로 '중소기업 혁신활동 현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 혁신활동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57.2%)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기업(19,2%)보다 3배 많았다.
혁신활동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이유는 ‘주력제품 매출확대’(33.3%), ‘생산성 향상’(26.9%), ‘제품·상품 다양화’(12.5%), ‘기존 거래처 수요 대응’(9.2%), ‘신사업진출’(7.9%), ‘기술 트렌드 변화 대응’(7.7%)이었다.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한 이유는 ‘자사 제품 및 서비스가 이미 시장에서 경쟁력 있다고 판단’(35.7%), ‘자금 및 인력조달 어려움’(21.4%), ‘시장의 경쟁압력이 낮음’(11.7%), ‘혁신이 성공하지 못할 경우의 리스크’(9.1%) 등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절반 미만(47.6%)이 최근 3년 내 혁신활동을 수행했으며 수행한 혁신 활동은 ‘기존 상품의 품질 및 가격 경쟁력 향상’(36.5%), ‘새로운 상품의 개발’(26.8%), ‘특허 및 지식재산권 출원’(13.9%), ‘R&D 활동에 대한 투자 증대’(10.0%), ‘새로운 제조설비 및 기술의 도입’(6.3%), ‘고객 맞춤형 서비스 등 새로운 서비스 도입’(4.7%), ‘혁신활동 수행 전담조직 구성’(1.3%) 순으로 조사됐다.
혁신활동 수행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기술개발부서 직원’(36.0%)이었으며 ‘대표자(CEO)’(31.0%), ‘기술개발부서 임원’(20.2%), ‘사업전략·기획담당 인원‘(8.9%) 등이 뒤를 이었다.
혁신활동을 수행하게 된 계기는 ‘자사 상품의 경쟁력 약화’(26.5%), ‘새로운 상품·서비스의 출현 증가’(22.6%), ‘경쟁업체의 시장 점유율 확대’(17.6%), ‘자사 상품 종류의 다양성 부족’(15.5%), ‘소비자 니즈의 빠른 변화’(7.9%), ‘특허 및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5.0%), ‘제조기술의 빠른 변화 속도’(3.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혁신활동을 수행한 기업 10개사 중 8개사(82.7%)는 독자적으로 혁신활동을 수행했으며 협력한 외부 기관은 ‘타 중소기업’(39.6%), ‘대학, 연구소’(35.4%), ‘정부, 지자체’(14.6%), ‘대기업’(10.4%) 순이었다.
혁신활동 수행 경비 조달 방법은 ‘자체자금’이 78.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부·지자체 지원·융자금’(12.9%), ‘은행 등 금융기관 대출금’(8.1%)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혁신활동을 수행한 기업 10개사 중 9개사(87.4%)는 목표를 달성했으며 ‘일부 달성’(51.4%), ‘근접 달성’(31.0%), ‘거의 달성하지 못함’(11.8%), ‘초과 달성’(5.0%), ‘전혀 달성하지 못함’(0.8%) 순으로 나타났다.
혁신활동 목표 달성 측정 방법으로는 ‘수익 변화’(39.6%)가 가장 많았으며 ‘시장 점유율 변화’(27.8%), ‘신제품·서비스 출시 여부’(19.9%), ‘경영 효율성 개선 여부’(9.7%) 등이 뒤를 이었다.
달성한 성과를 기반으로 한 향후 계획은 ‘상품·서비스 확대’(56.2%), ‘추가 연구개발’(21.2%), ‘해외시장 진출’(16.8%), ‘투자 유치 및 자금 조달’(2.9%), ‘비즈니스 프로세스 최적화’(2.9%)로 조사됐다.
혁신활동 수행 시 애로요인은 ‘자금 조달’이 25.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전문인력 확보’(22.8%), ‘혁신정보 및 아이디어 획득’(12.3%), ‘시장에 대한 정보 부족’(12.3%), ‘기술·인력의 보호’(7.3%) 등의 순이었다.
중소기업 간 네트워크 기반 혁신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 방안은 ‘공동 R&D 자금 지원’(35.3%), ‘세금 혜택 및 인센티브 제공’(19.0%), ‘공동 마케팅 및 시장 진출 지원’(13.8%), ‘네트워크 정보 제공 및 매칭’(8.8%), ‘전문 컨설팅 및 자문 서비스 지원’(8.8%) 등의 순으로 답했다.
중소기업의 지속적 기업혁신을 위해 필요한 기업역량은 ‘자금조달 능력’(34.5%), ‘최고경영자의 적극적인 혁신의지’(19.1%), ‘혁신활동 전담부서 등 유연한 조직체계 구축’(13.5%), ‘시장 및 기술동향 모니터링 능력’(12.1%), ‘직원의 동기 부여’(8.5%) 등을 들었다.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강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방안은 ‘정부 정책자금 확대’(38.0%)이었으며 ‘전문 인력 양성 및 채용 지원’(19.8%), ‘금융기관 대출제한 완화’(10.1%), ‘투자자금 세액공제 확대’(10.1%), ‘시장 및 기술 동향 등 정보제공 확대’(9.4%) 등이 뒤를 이었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조사에 참여한 중소기업 과반수가 혁신활동의 필요성을 인식한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중소기업의 역동성과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실제 혁신활동 수행 비율은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라며, “정부는 정책자금 확대 등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 성장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